제주 제2공항 공군기지화 논란이 일고 있다. 이에 시민단체는 "그동안 제2공항의 군사공항 활용 가능성에 대한 반대 입장을 밝혀 온 원희룡 제주지사는 명확한 입장을 밝히라"고 촉구하고 나섰다.
제2공항 전면 재검토와 새로운 제주를 위한 도민행동은 13일 성명을 통해 "원 지사는 국방부의 제2공항 공군기지 추진에 대한 사실관계를 명확히 밝혀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도민행동은 "지난 10일 국회 대정부 질문에서 더불어민주당 오영훈 의원이 '국방부 관계자가 제주도청 고위 인사에게 전화를 걸어 성산 신공항 부지를 공군착륙장과 활주로롤 이용할 수 있느냐는 문의를 했다'고 폭로했다"며 "이는 그동안 소문으로 떠돌던 공군기지 추진 의혹이 사실로 밝혀진 점에서 매우 충격적"이라고 말했다.
도민행동은 "이미 제2공항 반대 온평리 비상대책위원회는 작년 3월에 제2공항 예정 부지 면적이 기존 제주공항 면적에 비해 36%가 넓다면서 몇해 전 공구닝 추진했던 공군전략기지가 제2공항에 함께 들어설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고 덧붙였다.
도민행동은 "만약 제2공항에 공군기지가 들어서는 것이 사실이라면 정부는 제주도를 평화의섬이 아닌 동북아의 화약고로 만들겠다는 것이나 다름없다"며 "제2공항의 군공항 활용은 제2의 사드배치와 다름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당장 중국의 보복조치가 제주 경제를 직접 위협하게 될 것"이라며 우려했다.
도민행동은 "그동안 지사는 제2공항의 군사공항 활용 가능성에 대해 반대 입장을 밝혀왔다"며 "설계부터 달라 제2공항은 군 공항을 전혀 고려치 않고 있다는 입장을 밝혀 온 만큼 이번에 제기된 의혹에 대한 명확한 사실관계를 밝히라"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만일 이 의혹이 사실이라면 제주도를 책임지고 있는 수장으로서 제주도를 군사요새화하고 제주도민의 생명을 위험에 빠뜨리는 지금의 제2공항 계획을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인지도 책임있게 밝히라"고 강조했다.
제주도는 이에 대해 “국방부가 제2공항 공군기 이용 가능성을 제주도에 문의했다는 것은 사실 무근”이라며 “공군기지 관련 의견에 대해 도의 부서 및 직위를 대상으로 확인한 결과 어떠한 사항도 전달 받은 내용이 없다”고 해명했다.
이어 “제2공항에 공군기지가 들어설 가능성이 있다는 부분에 대해서는 국토교통부 관계자가 ‘새롭게 건설되는 제주 제2공항은 순수 민간공항으로 건설된다’는 답변을 분명히 밝힌 바 있다”며 “국토부와 제주도는 현재도 제2공항은 순수 민간공항으로 개발돼야 한다는 입장에 대해 변함없다”고 덧붙였다. [제이누리=박수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