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교과서에서 벌어졌던 논란이 교육방송(EBS) 교재로 옮겨갔다. 2018학년도 수능연계 EBS 교재에서 제주4·3사건을 왜곡·축소 기술해 또 논란이 일고있다.
<경향신문>은 더불어민주당 노웅래 의원(서울 마포갑)이 “EBS <수능특강 한국사영역 한국사>교재 168쪽에 제주4·3사건에 대한 기술을 단순화해 국정교과서의 맥락을 따랐다”는 지적을 13일 보도했다.
해당 교재는 4·3사건의 원인을 ‘제주도 좌익세력의 무장봉기’라고 서술하고 있다.
또 4·3사건의 전개과정은 ‘제주도의 좌익세력 등이 5·10 총선거를 앞두고 무장 봉기함→제주 3개 선거구 중 2곳에서 선거가 무효화됨 →진압 과정에서 제주도민들이 희생됨’이라고 기술돼 있다.
노 의원은 “학교 현장에서 사실상 교과서처럼 활용되는 EBS 교재까지도 편향적으로 서술된 것은 심각한 문제”라고 우려한 것으로 전해졌다.
제주4·3사건 연구자인 이영권 제주영주고 교사는 “아무리 간략히 서술해도 최소한의 용어와 사실은 기술해야 한다”며 “남로당이 주도했지만 일반 도민 참여도 많았는데 ‘좌익세력 등’으로 뭉뚱그렸으며, ‘5·10 총선거’가 ‘남한만의 단독선거’라는 문제가 있었다는 점도 언급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또 “무장봉기 배경이 드러나지 않으면서 무력을 사용한 측을 ‘악’의 세력으로 인식하게 되고, 최소 3만명이 숨진 진압 과정에서도 ‘이승만 정권의 군경에 의한 희생’이라는 점이 드러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이에 EBS관계자는 “해당 교재는 국정교과서가 나오기 전 시중 교과서를 바탕으로 썼다”며 “의견이 접수되면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제이누리=박수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