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오라동민과 조설대 애국선구자 후손들이 황용해 제주보훈청장을 향해 "진심으로 사과하라"며 반발하고 있다.
이들은 14일 제주도의회 도민의방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황 청장은 ‘조설대 위상’에 대한 견해를 밝히라”며 이같이 밝혔다.
사연은 이렇다. 지난 3일 제주시 오라동 연미마을 조설대에서 ‘제4회 조설대 경모식’이 열렸다.
이들은 “이날 행사의 자리를 더욱 뜻 깊게 하기 위해 행사 3~4일 전부터 제주시장과 광복회 제주지부장 등을 직접 찾아뵙고 초청했다”면서 “그때 제주보훈청에도 가서 황 청장을 방문했다”며 말문을 열었다.
이들에 따르면 이들의 경모식 참석 요구에 황 청장은 “내가 그 자리에 참석하면 조설대를 인정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참석하지 않겠다”며 “나는 제주도 공무원이 아니고 국가 공무원”이라고 말했다는 것이다.
황 청장은 또 “요즘 애국지사라고 이렇게 사기치는 사람들이 많다”며 “조설대 12명도 애국지사가 아니다. 뭘 했다고 애국지사냐”고 비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이들은 “국가현충시설로 지정된 곳 아니냐”며 “청장님 말씀이 지나친 것 아니냐”고 반박했다.
이에 황 총장은 “국가현충시설로 지정된 건 누군가의 장난에 의해 그렇게 된 것”이라며 “전임 청장의 직무유기다. 그리고 당시 담당들을 다 짤라야 한다. 그러니 그만 나가라”고 말했다고 전해졌다.
이들은 “황 총장으로 부터 이러한 말을 듣고 쫓겨났다”며 “경모식 전날인 지난 2일에는 황 총장으로부터 ‘애국지사라는 용어를 임의사용하면 법으로 처벌받을 수도 있다’는 공문서를 받았다”고 토로했다.
이어 “행사 당일 오라자연문화유산보전회 문명숙 사무국장이‘제주보훈청에 가서 소란을 피운 점 빨리 사과하라’는 전화를 받았다”며 “광복회 제주지부장도 양임성 조설대관리 위원장에게 ‘제주보훈청장에게 사과하라’고 종용했다. 그러나 양 위원장은 ‘우리가 사과를 받을 사항’이라고 거절했다”고 덧붙였다.
또 “황 총장은 제주도의회 모 회의석상에서 우리들을 범죄인으로 비유하며 ‘범죄인들이 파출소를 찾아왔는데 파출소장으로서 그럼 어떻게 해야 되느냐’고 발언했다”며 “정말 기가 막혀 말도 안나온다”고 말했다.
이들은 “그래도 우리는 황 청장이 사과할 기회를 주기 위해 사과를 요구하고 지난 14일 오후 5시 오라동주민자치센터에서 기다리고 있었지만 아무런 반응이 없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황 총장은 오라동민과 조설대 후손들에게 진심으로 사과하고 자신의 책임을 물어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이선화 의원은 “제주보훈청은 특별자치도 직속 기관임에도 제주도가 제대로 관리하고 있지 못하는 것 같다”며 “도민 세금의 60억원이 넘는 세금이 투입됨에도 도민 눈높이에 맞는 업무를 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당시 황 청장은 ‘도와드릴 게 없냐’며 행정과 도민을 이어주는 가교역할을 해줬어야 했다”며 “제주도가 제대로 관리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제주도정은 이관된 행정업무에 대해 제대로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제이누리=박수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