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환경보전기여금 부과에 대해 전문가의 93.5%가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의 자연을 보전하기위해 관광객들도 동참해야 한다는 것이다.
강기춘 제주발전연구원장과 강경식 제주도의원은 3일 ‘환경보존기여금 등에 대한 전문가 인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17~20일 면접원과 일대일 면접 방식으로 이뤄졌다. 도의원 및 정책자문위원과 대학교수, 언론인, 시민사회단체, 제주개발연구원 종사자 등 16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조사결과 관광객에 부과하는 환경보존기여금 도입에 150명(93.5%)이 찬성했다.
이들은 △관광객 증가로 인한 환경처리비용 재원 마련 52%(78명) △자연환경 보전 23.3%(35명) △고품질 관광지로 전환 11.3%(17명) △저가관광으로 인한 제주발전 한계 발생 방지 10.7%(16명) △기타 2.7%(4명) 등을 이유로 꼽았다.
반면 반대하는 응답자(10명·6.5%)들은 ▲ 법·제도적으로 환경기여금 제도를 시행하기 어려움 ▲고비용 관광지로 제주관광 성장 위축 우려 ▲관광비용 증가로 실제 관광지출 비용 감소 우려 등을 이유로 들었다.
기여금 가격에 대해선 5000~1만원이 55명으로 가장 높았다. 그 뒤를 2000~5000원(41명), 1만~1만5000원(35명), 1만5000~2만원(24명), 기타(5명) 등이 이었다.
부과 방법으로는 응답자의 38.1%(61명)가 “항공기나 여객선 요금에 포함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또 △항공기·여객선 탑승권 구매 시 별도요금에 포함 22.5%(36명) △관광지 입장 요금에 포함 11.9%(19명) △숙박료에 포함 10%(16명) 순으로 선호했다.
이번 설문과 더불어 환경보전기여금 도입 관련 전문가 토론회도 마련된다. 4일 오후 4시 메종글래드 제주 제이드홀에서 열린다.
이날 토론회에선 강기춘 제주발전연구원장과 테레사와 제주일본총영사관 총영사가 주제발표에 나선다. 또 고충석 제주국제대 총장이 좌장을 맞고 강경식 도의원, 우펑린 중국 여유연구원 박사 등 7명이 패널로 참가해 ‘제주 자연가치 보전과 관광문화 품격 향상을 위한 정책 추진 방안’에 대한 토론회를 진행한다. [제이누리=박수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