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땅값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제주로 조사됐다. 전국적으로 68개월 연속 상승세다.
국토교통부는 올 상반기 전국 지가변동률은 1.25% 상승해 2010년 11월 이후 68개월 연속 상승세를 유지 중이라고 27일 밝혔다.
전년 동기 1.07%에 비해선 소폭 상승한 수준이며 전국 17개 시·도 땅값도 모두 상승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1.12%)보다 지방(1.48%)의 상승 폭이 컸다. 서울(1.34%)은 2013년 9월부터 34개월 연속 소폭 상승중이나 인천(0.82%), 경기(0.95%) 지역은 전국 평균을 하회했다.
제주는 5.71% 상승해 전국 최고 상승률을 보였다. 전국평균(1.25%)의 4.6배나 된다.
이어 세종(2.10%), 대구(2.0%), 부산(1.92%), 대전(1.66%), 서울(1.34%), 강원(1.34%) 등 7개 시·도가 전국 평균을 상회했다.
특히 서귀포시(6.08%)는 제2공항 발표 이후 후보지 인근지역에 대한 투자수요 등으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울산 동구(-0.28%)와 거제시(-0.19%)는 조선업 경기침체에 따른 부동산 수요감소 영향으로 오히려 땅값이 떨어졌다.
용도지역별로는 주거지역(1.39%), 계획관리지역(1.32%), 상업지역(1.17%), 녹지지역(1.11%) 순으로 상승했다. 이용상황별로는 주거용지(1.40%), 전(1.38%), 상업용지(1.19%), 답(1.06%), 공장용지(0.93%), 임야(0.85%) 순으로 상승했다.
반면 올해 상반기 전체 토지 거래량은 총 140만7000필지(1102.6㎢)가 거래돼 최고치를 기록했던 지난해 상반기 대비 8.1% 감소했다.
건축물 부속토지를 제외한 순수토지 거래량은 총 55만7000필지(1023.2㎢)로 전년 상반기 대비 1.6% 증가했다.
지역별 상반기 전체토지 거래량은 강원(24.1%), 제주(12.8%), 충북(6.5%) 순으로 증가한 반면 세종(-39.4%), 대구(-35.0%) 등은 감소했다.
순수토지 거래량은 세종(61.3%), 울산(15.4%), 경기(12.3%) 순으로 증가한 반면 부산(-17.9%), 대구(-10.3%)는 줄어들었다.
국토부 관계자는 "최근 주택거래량이 일부 감소하면서 전체토지거래량은 전년대비 소폭 감소했다"면서도 "하지만 최근 저금리영향으로 개발수요가 있는 지역의 토지매매 수요가 지속돼 예년과 같이 꾸준한 거래추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제이누리=양성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