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찬 제주교육감 예비후보는 29일 정책브리핑을 통해 "현재 특성화고를 나와서 모두 대학에 지원하려는 시스템으로는 특성화고의 존재의미는 별로 없다고 본다"며 "글자 그대로 산업현장 요원을 선발하는 특성화 교육과정이 이루어질 때 진정한 학교 발전의 바탕을 이룰 것이다"고 밝혔다.
강 예비후보는 "현재 제주도내 특성화고에서 산업현장 체험중심 직업 교육과정을 지원, 특성화고 현대화 및 실험 실습을 강화하는 등 나름대로 노력하고 있으나 형식적, 단발성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아 실속이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특성화고는 각 학교의 직업 관련 과목 상당 시간을 산업 현장 체험학습 또는 실습 과정으로 프로그램을 구성, 운영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명실상부 직업을 위한 고교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학생들의 교육력을 향상시키려면 교원들도 전문성을 갖추어야 하므로 교원 연수도 현장 맞춤형으로 내실을 기해야 할 것이다"며 "최고의 전문가가 교육하는 현장이 최고의 직업인을 양성하는 지름길이라는 점을 깊이 새겨 교원 연수를 강화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제이누리=강남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