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룡 예비후보는 26일 오전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당시 법안 서명은 당내 사정 때문이었다"고 밝혔다.
원 예비후보는 "그동안 위령제에 참석하지 못한 것은 어떠한 사정을 떠나 송구한 마음"이라며 사과했다.
그는 이어 "다만 4·3위원회 폐지법안 서명 당시 한나라당 소속 의원 전원이 일률적으로 발의했던 당론이었다"고 재차 해명했다.
그는 또 "이명박 대통령 취임 직후 당내 분위기가 혼란스러웠다"면서 "대통령 인수위가 정부조직법을 두고 여·야 간의 협상을 최대 과제로 삼아 원내 지도부가 모든 명운을 걸고 진행하던 때"라고 덧붙였다.
그는 "당론이라고 하지만 서명을 왜 안 뺐냐고 지적할 수 있는데 박근혜 대통령도 서명자 명단에 들어갔다"면서 "국민이 볼 때 의문이 있을 수 있겠지만 박 대통령도 당시 '나도 속고 국민도 속았다'고 말했듯이 총선 공천을 앞두고 소위 친이명박계에 의한 공천학살이 물밑에서 진행되던 상황이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결국 그 법안은 상임위 차원에서 심의도 안 되고 폐기됐다"며 "다만 저의 불찰에 대해서 지적하자면 겸허히 받아들이겠다"고 말했다.
김우남·고희범 새정치민주연합 도지사 예비후보를 비롯한 일각에선 원 예비후보를 향해 '의원시절 12년 간 4·3 위령제에 불참했고 4·3위원회 폐지 법안을 공동 발의했다. 원 예비후보는 이에 대해 해명해야 한다"는 등의 공격을 퍼붓고 있다.
원 후보는 이날 사과 후 4.3유족회도 직접 찾아갔다.
정문현 유족회장과 김두연 4.3실무위원회 부위원장, 홍성수 전 유족회장 등을 면담한 자리에서 정 유족회장은 “4.3유족들은 지난 66년간 한맺힌 삶을 살아왔다”며 “원 후보가 만일 지사가 되면 유족을 잘 도와줄 방안을 연구해달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 유족회장은 “유족회에 대한 예산 지원이 부족해 상근자들에게 급여도 제대로 못주고 있다”며 “회장단이 사비를 털고 있지만 애로가 많다”고 고충을 토로했다.
원 예비후보는 “유족들의 아픈 가슴을 어루만져줄 수 있도록 자주 만나 이야기를 듣고 해결책을 찾겠다”며 “첫 국가추념일에 박근혜 대통령이 참석해주도록 다각적으로 건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원 예비후보는 “일부 극우인사들이 막연하게 자극적인 주장을 내놓는 경우가 많다”며 “앞으로 국회의원들과 여론주도층에게 직접 확실한 자료와 증거를 보내 4.3의 진상을 알리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제이누리=강남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