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하나 의원은 9일 논평을 통해 8일 자신이 촉구한 대통령 자진사퇴와 6.4 지방선거에서 보궐선거 동시실시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장 의원은 “검찰수사결과를 통해 국가기관의 불법적이고 조직적인 선거개입이 밝혀졌다. 지난 18대 대선은 부정선거임이 확인된 이상, 박근혜 대통령은 더 이상 정치적인 책임을 외면하지 말라는 최소한의 상식적인 요구”라고 강조했다.
그는 “청와대는 이미 검찰 수사로 밝혀진 국정원의 트위터 글 2200만 건과 국방부 사이버사령부의 트위터 글 2300만 건 등에 대해 ‘개인적 일탈’이라거나 ‘재판 결과 후 입장 표명’으로 정치적 책임을 회피했다”며 “청와대의 이러한 무책임한 태도는 국회의 진상규명 의지를 흔들고, 나아가서 부정선거 의혹을 둘러싼 국론분열과 국정불안을 야기할 뿐”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채동욱 전 검찰총장의 혼외자녀 신상정보 열람에 청와대 행정관이 연루된 사실이 드러나고 청와대가 의도적인 수사방해를 하고 있다는 의혹이 점차 짙어지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박 대통령의 선명한 입장을 재차 물을 수밖에 없다”고 역설했다.
장 의원은 새누리당을 향해서도 비판의 날을 세웠다.
그는 “새누리당 윤상현 수석부대표는 지난달 21일 공소장 변경내용을 검찰발표 보다 먼저 공표해 검찰 내부와의 커넥션 논란을 일으킨 장본인이다. 이에 대한 일체의 해명도 한 바 없다”며 “그렇다면 새누리당은 국정원 트위터 계정이 300개 아닌 2300여개라는 사실과 트위터 유포 글이 120만 건이 아닌 2000만 건 이상이라는 수사결과를 이미 알고 있었다. 그러면서도 3일 여야 4자 회담에서 끝내 특검 수용을 유예시켰다고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윤 수석부대표는 ‘대통령 자진사퇴와 보궐선거 실시요구’에 대해 ‘유권자 모독·대통령 폄훼 막장드라마’라는 원색적인 정치선동을 불사했다”며 “새누리당은 유권자를 모독한 주체는 국정원, 사이버사령부 등 불법적으로 선거 개입한 국가기관 일체임을 인정해야 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그는 “대통령의 명예를 실추시킨 것도 선명한 진상규명 의지를 천명하지 청와대 자신이며, 이를 비호하기에 급급한 새누리당에게도 책임이 있다”며 각성할 것을 촉구했다.
장 의원은 “민주당의 당론과 지도부의 입장은 재확인 할 것도 없이 이미 명백하고 전혀 변함이 없다”면서도 자신의 자진사퇴 및 보궐선거 실시 제안에 대해 “그럴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된 것은 매우 안타깝고 유감스럽다”고 표명했다.
그는 “당론과는 상이한 개인 성명발표에 대해 당 지도부에 송구스럽게 생각한다. 원내부대표직을 자진사퇴할 것을 이미 당지도부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그는 그러나 “당론과 상이함에도 나의 정치적인 견해와 주장은 여전히 유효하다”면서 “그럼에도 새누리당이 나의 정치적 입장을 볼모로 내년 예산안과 주요 법안심사 등 민생과 직결된 국회 현안을 무시하고 정쟁으로 몰아가려는 구태를 답습한다면 결단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