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공사피해주민·참여연대, “도, 대책심의위 열지 않아…강력한 단속해야”

 

제주 신라면세점 증축공사 심의가 엉망으로 이뤄졌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게다가 지역주민들조차도 소음과 교통체증으로 인해 민원을 호소하고 있다.

 

신라면세점영업 및 증축공사 피해 비상대책위원회와 제주참여환경연대는 15일 오전 기자회견을 통해 신라면세점 증측공사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들을 제기했다.

 

이들에 따르면 신라면세점은 중소상인들이 관광객을 대상으로 판매하는 물품도 판매하고 있다. 게다가 공사로 인해 교통체증은 더욱 악화되고 공사로 인한 소음피해도 발생하고 있다.

 

제주도 건축위원회 심의도 엉망으로 진행된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이 3회에 걸친 정보공개청구에 따르면 도는 신라면세점 증축공사 이전부터 주변 교통이 심각하게 정체돼 있음에도 불구하고 별도로 교통영향분석개선 대책심의위원회를 열지 않고 건축위원회 회의로 심의를 마쳤다. 게다가 건축위원회에서도 주차문제에 대해 지적했다.

 

심지어 공제공지면적에 대해 지적한 사항을 보면 차량이 통행하는 부분은 공제공지면적에서 제외돼야 하는데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도 다음 회의에서는 수정안을 원안 통과시키는 등 10분만에 끝냈다.

 

 

이에 이들은 “신라면세점은 최근 급증하는 외국인 관광객의 최대 수혜자이지만 신라면세점이 누리는 이익과 반비례로 주변의 상인들과 주민, 도민들의 고통은 커지고 있다”고 호소했다.

 

이들은 “신라면세점 앞 도로는 버스들이 한 차선을 점령해 버려 교통량이 많았던 도로의 정체를 더욱 부추기고 있다”며 “건물을 증축하기 위해 그나마 있던 면세점 앞 주정차공간까지 건물로 채우려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최근 신라면세점과 신라호텔이 밝힌 사회공헌 계획에 대해 “막대한 이익을 누리면서 생색을 내는 것에 허탈함을 넘어 분노를 느끼게 한다”며 “교통체증을 더욱 악화시키고 소음피해도 아랑곳하지 않으면서 상생을 얘기하는 신라면세점의 행태는 지탄을 받아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도정을 향해서도 비난했다. “이 지역의 교통현실을 감안하면 신라면세점 증축 이후 더욱 극심하게 발생할 교통문제에 대해 다루지 않았다는 것은 이 문제에 대한 해결의 의지가 없다는 의심을 가지기에 충분하다”며 “주차문제 지적에서 통과시킨 것은 도정이 이 문제에 대한 해결의지를 의심케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그러면서 “증축공사를 중단하고 교통혼잡과 주차난을 현실적으로 해결한 뒤 공사를 재개하라”며 “면세점 인접한 곳에 충분한 대형버스 주차공간을 확보하고 아울러 직원차량의 주차로 몸살을 앓고 있는 주택가의 주차난을 해소하기 위한 직원차량의 주차공간을 확보하라”고 촉구했다.

 

게다가 “도는 대규모 교통유발 시설에 대한 교통유발부담금제도를 즉각 도입하고 신라면세점 앞 도로에 주정차단속카메라를 설치하라”며 “교통경찰, 자치경찰 등 행정기관 관계자가 상주해 주정차위반, 공사로 인한 소음, 비산먼지 등에 대한 강력한 단속을 펼칠 것”을 요구했다.

 

아울러 “도는 크루즈 여행객을 여러 쇼핑시설로의 분산을 유도하라”며 “문제를 알고 있음에도 교통난을 유발시킨 신라면세점에 대해 강력한 행정적 조치를 위하고 증축을 허가한 도와 우근민 도지사는 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라”고 촉구했다. [제이누리=김영하 기자]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