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농가간 소득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제주본부가 7일 발표한 ‘제주지역 농가의 재무상황 및 잠재리스크’에 따르면 지난해 제주지역 농가의 가구당 연평균소득은 약 3920만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다. 가계지출은 3350만원으로 경기(3660만원) 다음으로 많다.
소득원천별로는 농업소득이 1020만원으로 근로수입 등 사업외소득 1410만원보다 많았다. 전체 소득의 36%를 차지한다. 이는 전국 평균 31%보다 높은 수준이다.
지출은 통신, 교육 등 서비스지출이 58.3%로 가장 많았다. 전국 평균 52%보다 높았다. 이어 세금·공적연금, 가구간이전 등 비소비지출 비중이 21.9%였다.
제주지역 농가의 평균자산도 경기(7억2400만원)에 이어 많았는데 5억2100만원이다. 토지평가액 등 고정자산이 3억9900만원으로 전체 자산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현금·예금 등 유동자산은 1억2200만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은 편이다.
그러나 농가부채는 3600만원으로 경기(4900만원)에 이어 전국 두 번째로 많았다. 다만 농가부채는 2007년까지는 증가세를 보이다가 이후 빠른 속도로 감소했다. 부채는 주로 고정부채가 전체 농가부채의 73.8%를 차지했다. 단기부채인 유동부채의 경우 타 지역에 비해 가장 큰 900만원을 차지했다.
특히 농가간 소득양극화는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제주지역 농가소득은 전년대비 7.6% 증가했지만 농가간 소득분배는 오히려 악화됐다.
지역별 농가의 지니계수(소득분배 정도를 판단하는 대표적인 지표·0~1사이의 값을 가지며 1에 가까울수록 소득분배가 불평등함을 의미)를 추정한 결과 지난해 제주지역 농가 지니계수는 타 지역농가에 비해 양호하지만 2011년보다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에는 0.39였지만 지난해에는 0.42였다.
이는 매출액이 작은 농가와 큰 농가수가 동시에 증가하면서 소득격차가 확대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농산물 매출액이 500만원 이하인 영세농가의 수는 2011년보다 1000가구(2.7%p)가 증가했다. 또 5000만원 이상인 고소득농가수도 300가구(1.0%p)가 증가했다. 비중으로 볼 때는 변화폭은 전국평균 0.1%p, 0.3%p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지역은 타지역과 마찬가지로 농가의 고령화 추세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은 제주본부 한재찬 조사역은 “제주지역 농가소득 및 재무건전성은 타 지역에 비해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준”이라며도 “다만 농가소득의 변동성이 큰 점에 유의해 이를 안정화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농가간 양극화에 대해서는 “영세농가를 협동조합 등의 방식으로 조직화함으로써 생산·유통·판매에 있어 규모의 경제를 도모해야 한다”며 “농가부채 등으로 일시적 경영위기에 처한 농가에 대해서는 농지은행의 경영회생지원사업 등의 지원제도를 적극 활용해 경영정상화를 유도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시장 개방에 따른 불안 요소에 대해서는 “정책당국은 시장개방에 따른 감귤산업의 피해를 최소화 하도록 협상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동시에 구조조정 및 보상이 원만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단계별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감귤농가들도 수입 오렌지·감귤과의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감귤의 고품질화·차별화를 적극 도모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한은은 시장개방에 따른 감귤농가의 소득감소를 우려했다. 한·미FTA로 인한 미국산 오렌지 수입 증가와 한·중FTA 체결로 중국산 감귤류 수입 우려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