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근민 제주도지사의 발언이 또 문제가 됐다. 이번에는 제주해군기지(민·군복합항) 관련 발언이다.
강정마을회 등 해군기지 반대단체들이 “우 지사가 그 동안 정부 측 거수기 역할을 했다”며 강하게 비난하고 나섰다.
강정마을회 등에 따르면 우근민 지사는 지난 23일 오후 제주상공회의소 4층에서 열린 ‘제주 신공항 건설 범도민 추진협의회’ 전체회의에서 민·군복합항 15만 톤 크루즈 입출항 검증에 대한 배경을 설명하며 “사실 중국을 가면 제주해군기지에 대하여 얘기를 많이 한다. 그럴 때 마다 마음이 조마조마 했다. 백에 하나라도 제주해군기지에서 나간 해군과 중국 배가 문제가 생겼을 때 제주관광지에 어떤 타격이 올 것인가 고민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하늘이 무너져도 없기를 바라지만 전쟁이 나면 해군기지는 공격의 목표가 된다. 제주해군기지를 민·군복합항으로 하면 민항이어서 제네바 협정에 의해 공격대상이 아니다. 이게 민·군복합항을 지키려는 의도였다”고 말했다.
이에 강정마을회와 군사기지 저지 범대위, 전국민대책회의 등은 25일 성명을 통해 “참으로 천인공노 만인공분 할 얘기다”며 우 지사의 발언에 대한 의도를 분석했다.
이들은 “우 지사는 중국을 방문했을 때마다 중국 측 인사들로부터 제주해군기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접했다. 중국의 선박과 마찰을 빚을 경우 ‘중국을 대상으로 한 관광산업에 타격을 입게 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또 “그럴 경우 중국을 상대로 제주도가 역점을 두고 추진해온 ‘제주특산품 수출 협정 등이 제약을 받거나 파기 될 가능성도 높다’는 사실도 드러난 셈”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러한 점 때문에 우 지사는 ‘마음이 조마조마 했다’고 고백한 것”이라며 “양국이 관계가 악화돼 전쟁이 발발 할 경우 ‘제주해군기지는 제1의 폭격대상이 될 수 있다’는 점 또한 우 지사는 인정했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그러면서 “우 지사가 도민 전체의 경제는 물론 생존권까지 걸린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민·군복합항 카드를 선택했다는 것에 아연실색 할 수밖에 없다”고 우 지사를 겨냥했다.
이들은 특히 “우 지사의 발언에 따르면 민·군복합항은 민간인과 민간시설을 방패막이로 활용해 군항을 건설한다는 개념이기에 제네바협정 정신에 반하는 비인도적인 발상”이라며 “만일 대한민국이 이 사업을 멈추지 않는다면 국제적인 비난을 피할 길이 없을 것”이라고 정부도 겨냥했다.
이들은 “한·중 간 전쟁 상황을 상정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제주를 둘러싼 바다를 포함한 서해 전체가 미·중 간의 갈등으로 극심한 혼란에 휩싸일 수 있다”며 “만약 단 한 번이라도 미핵항공모함이 제주해군기지에 기항을 하게 된다면 우려가 현실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우 지사의 발언은 제주해군기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은 커녕 사기극에 불과한 민·군복합형 관광미항 논리에 휩쓸려 정부 측 거수기 역할을 한 것에 불과했다는 것을 증명하기에 충분하다”고 우 지사를 성토했다.
우 지사는 지난 5월 29일 오찬을 겸한 기자간담회 자리에서 '4.3 폭도' 발언에 이어 '간첩기자' 폭언을 해 막말파문을 불러온 바 있다. [제이누리=김영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