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임인년(任寅年) 검은 호랑이는 개척을 상징한다고 합니다.
우리 제주연구원이 지향하는 ‘뉴 프론티어’ 정신과도 일맥상통합니다.
지난 29일 한경면 용수리에서 쏘아 올린 민간최초의 과학로켓, 비록 절반의 성공에 그쳤지만 제주가 미래임을 입증하는 또 다른 값진 노력이었습니다.
모자라면 보완하고 실패하면 또 하면 됩니다.
중요한 것은 좌절하지 않고 계속 하는 것입니다.
꿈은 그렇게 해서 자라나고 성취되는 것이라 믿습니다.
2년 동안 계속된 코로나19 충격으로 제주경제는 IMF 이후
가장 어려운 시기를 맞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에겐 희망이 있습니다.
탄소중립시대를 맞아 Carbon-Free를 향해 10년 가까이 질주해 온 제주는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의 선도 사례로 평가 받고 있습니다.
제3차 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도 확정되어
사람과 자연이 공존하는 스마트 도시’로의 행보도 본격화 될 것입니다.
제주는 이미 중앙정부로부터 ‘그린시티(환경부),’
‘스마트 챌린지시티(국토교통부)’로 지정되었고,
올해 상반기에는 ‘분산에너지특구(산업부)’로 선정될 예정입니다.
‘대한민국의 미래, 제주에서 시작하자’는 제 취임사가
여러분들의 노력 덕분에 차츰 현실이 되고 있다고 감히 생각합니다.
하지만 제주의 비전이 도민의 구체적 삶,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연결되려면
아직 갈 길이 먼 것도 사실입니다.
그래서 우리 제주연구원의 역할이 더욱 중요합니다.
2022년 올 한 해 우리 연구원이 역점을 두고자 하는 방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도민 소득 5만 달러’를 향한 중장기 전략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제주의 새로운 성장 동력발굴과 산업생태계 조성은 물론
도민의 소득원 증가방안에 초점을 두고자 합니다.
도민이 체감하지 못하는 비전과 정책은 성공할 수 없다는 점을 유념해야겠습니다.
둘째, 민선 7기의 안정적 마무리와 민선 8기 출범의 기틀을
적극적으로 뒷받침 하겠습니다.
대내외 환경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국정과제와 공약사항,
도정철학과 연계한 핵심 의제와 중점 정책과제를 도출 하겠습니다.
셋째, ‘제주형 뉴딜’의 성공적 정착과 미래를 선도하는 Think & Do Tank로서의 역량을 더욱 강화 하겠습니다.
이를 위해 연구원 각 부서의 융합연구를 심화하고 신설한
뉴딜 프론티어 센터‘의 내실을 다지겠습니다.
연구원의 지식공유 데이터 플랫폼을 고도화 하는 한편
연구 인력의 지속적 보강을 통해 제주는 물론 대한민국의 으뜸이 되는 길을 열어가고자 합니다.
10년 뒤 ’제4차 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은 우리 연구원 자체의 독자적 힘으로 마련할 수 있도록 지금부터 준비하겠습니다.
넷째, 도민이 체감하는 분야에 대한 연구도 더 노력 하겠습니다.
예컨대 우리 연구원은 지난해 도정에서 발표한 ‘쓰레기 걱정 없는 제주(Waste-Free Jeju)’ 정책을 뒷받침 한 바 있습니다.
새 정부, 새 도정이 들어서는 올해,
도민 피부에 와 닿는 보다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아울러 코로나19의 장기화, 만성화에 대비, 제주의 상시방역 체제 구축 방안과 더불어 제주에 걸 맞는 바이오-헬스케어 체제도 모색해 보고자 합니다.
다섯째, 제주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전문가들의 진단을 토대로 도민의 뜻을 수렴, ‘제주 컨센서스’ 형성을 적극 뒷받침 하고자 합니다.
지난해 제주2공항에 관한 논란과 갈등을 지켜보며
그 본질에는 제주의 지속가능한 발전경로와 수용역량에 대한 기본적 연구와 이에 대한 도민 합의 부족을 절감했습니다.
대단히 어려운 일이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일이겠지만
연구원 안팎의 전문가들과 함께 이를 깊이 연구하고 도정과 도의회, 시민사회와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의 의견을 경청해 제주의 미래에 대해 도민이 합의하고 공유하는 ‘제주 컨센서스’로의 긴 여정을 시작하고자 합니다.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연구원 여러분이 보여주신 지난 한 해 동안의 헌신과 열정에
깊이 감사드리며 2022년 새해, 새로운 활력으로 역동적 미래를 함께 열어 갑시다.
감사합니다. / 김상협 제주연구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