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산업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1차산업, 그중에서도 농업은 현재 변화의 기로에 서 있다. 점차 가속화되고 있는 기후변화와 생태계 훼손, 코로나19 창궐 등으로 인해 먹거리에 대한 불안감이 높아지면서 제주 농업 생태계에도 변화의 파도가 밀려오고 있다. 이 흐름에 주목을 받는 게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바라보는 친환경농업이다. 제주도인터넷신문기자협회(제주의소리·미디어제주·제이누리·제주투데이·헤드라인제주)와 (영)제주특별자치도친환경연합사업단은 농업과 친환경 먹거리의 현주소를 바라보고 이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공동 기획보도에 나선다. [편집자주]
"친환경 농업은 농업 속에서 청정 제주를 지키고 있지만, 아무리 친환경 농산물을 생산해도 소비자들이 찾지 않으면 폐기해야 합니다"
지난 17일 제주시 노형동에서 만난 현동관(49) 제주특별자치도친환경연합사업단 단장은 청정한 제주의 환경을 지키는 친환경 농업의 역할을 강조했다.
그는 "친환경 농업은 제주의 청정 이미지를 농업 속에서 실천하고 있다"면서 "기후위기와 지하수 오염을 예방하는 등 환경을 지키는데도 역할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 단장은 친환경 농업을 활성화 하기 위해 홍보, 유통의 어려움을 개선하고, 소비자의 가격부담을 완화하는 등 소비자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일반 감귤은 모양이 예쁘지만, 친환경 감귤은 모양 자체가 예쁘게 나오기 어렵다"면서 "소비자들이 그냥 상품을 눈으로 보는 것과, 직접 생산 과정을 느끼고 체감한 것은 분명히 다르다"고 강조했다.
이어 "친환경 농산물은 유통기간이 짧아 경쟁이 어렵다"면서 "또 일반 농업에 비해 생산비는 많이 들어가지만 생산량이 적고, 그렇가고 가격을 높이면 소비자들에게 어려움이 돌아간다"고 말했다.
현 단장은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친환경 농산물의 공공유통센터 건립과, 생산비 보전 정책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그는 "유럽의 경우 일반 농업의 생산비가 100이라면 친환경 농업 생산비는 130이 되는데, 이 차액 부분을 지원해 주는 방식"이라며 "국내에서도 가격부담을 줄여준다면 소비자가 늘어나게 될 것이고, 친환경 농산물 생산자도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친환경 농산물의 유통 부담을 해소하기 위해 공공유통센터가 필요하다"면서 "유통센터를 통해 도외로 판매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헤드라인제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