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학년도 대학 정시모집 의약학계열에서 제주대 약대가 전국최고인 57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8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2025학년도 정시 모집에서 의약학계열(의대·치대·한의대·약대)의 지원 건수는 모두 2만2546건으로 지난해 1만9037건보다 3509건(18.4%) 증가했다. 제주대 약대는 57.0대 1의 경쟁률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제주대 약대는 높은 경쟁률에도 불구하고 지원자가 꾸준히 몰리며 의약학계열 중 선호도가 두드러졌다. 종로학원은 "수능 최상위권 학생들의 의대 및 의약학계열 집중 지원이 경쟁률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올해 의대 모집정원이 늘면서 의대 지원자뿐만 아니라 약대, 한의대, 치대 등의 지원자 수도 함께 증가했다. 동국대(WISE) 한의대(5.1대 1), 가천대 한의대(10.4대 1) 등도 경쟁률이 높게 나타났다. 평균 경쟁률은 한의대가 10.5대 1로 가장 높았고, 약대(9.0대 1), 의대(6.6대 1), 치대(6.1대 1) 순이었다. 제주를 포함한 지방권 의약학계열 지원 증가 건수는 모두 2743건으로 전체 증가분의 78.2%를 차지하며 수도권 대비 지방권 선호가 확대된 양상을 보였다. 종로학원
중국인 무등록 여행업자와 공모해 불법으로 외국인 환자를 유치한 제주지역 의료기관 원장이 적발됐다. 제주지검 형사3부는 의료해외진출 및 외국인환자유치지원에 관한 법률 위반 등의 혐의로 제주도내 모 의원 대표원장 A씨(48)와 경영이사 B씨(51)를 불구속 기소했다고 8일 밝혔다. 또 공범인 중국인 무등록 여행업자 C씨(42)를 관광진흥법위반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 제주도내 모 의원 대표원장 A씨와 경영이사 B씨는 지난 2023년 8월 30일부터 지난해 9월 20일까지 중국인 C(42)·D(42)씨와 공모해 진료비의 10∼15%를 수수료로 지급하는 대가로 외국인 환자를 불법으로 소개받은 혐의를 받는다. A씨와 B씨는 중국인 C·D씨가 외국인 환자 유치사업자로 등록되지 않은 사실을 알고도 이들로부터 외국인 환자 17명을 소개받고 모두 1억180만원의 진료비를 챙긴 뒤 수수료 1250만원을 지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A·B·C씨는 불구속 기소됐으나 중국인 D씨는 수사과정에서 중국으로 도피해 기소중지됐다. A와 B씨가 있는 의원이 이번 사건을 포함해 최근 2년간 무등록 유치업자를 통해 수납한 외국인 환자 진료비가 6억6000만원으로 정식 유치사업자를 통해 수납한 금액
정부와 국민의힘은 8일 설 연휴 전날인 오는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했다. 국민의힘 김상훈 정책위의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상 경제 안정' 고위 당정협의회를 마친 후 브리핑에서 "당정은 설 연휴 기간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2025년 1월 27일을 임시 공휴일로 지정하는 것으로 협의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면 25∼26일 주말에 이어 28∼30일 설 연휴까지 모두 엿새를 연달아 쉴 수 있다. 김 정책위의장은 "정부 여당은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의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국민께 휴식의 기회를 확대 제공하면서 삶의 질 개선에도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이어 "부차적으로 명절 연휴 기간 확대로 인한 교통량 분산 효과 등의 다양한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며 "좀 더 따뜻하고 여유로운 을사년 설 연휴가 되기를 기원하면서 임시공휴일 지정의 혜택으로부터 소외되는 국민이 없도록 세심히 살필 것을 약속드린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김광수 제주도교육감이 "인공지능디지털교과서(AIDT)를 올해 1년간 시범적으로 써보고 학생, 선생님, 학부모와 교육청 자체 평가 후 확대 사용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김 교육감은 7일 제주도교육청 기자실에서 신년 차담회를 열어 "AIDT가 교과서가 되든 참고서가 되든 그 부분은 우리 교육청이 책임을 지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교육감은 "종이 교과서도 마찬가지지만 AIDT는 더 선생님의 역량이 수업의 질을 좌우한다"며 "선생님들에게 좀 더 시간을 드려야겠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많은 분이 3월 1일부터 의무적으로 써야 하는 것 아니냐고 생각하는데 그게 아니다"며 "잘 아시는 선생님은 3월부터 써도 좋고 그렇지 않은 분들은 한 6개월 정도 여유를 두고 해봐도 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AIDT 시범은 전체 학교를 대상으로 하지만 절대 못 하겠다는 학교에 억지로 하게 할 방법은 없다"며 "제가 원하는 것은 모든 학교에서 한번 해봤으면 좋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 교육감은 "모든 학교의 모든 반은 아니지만 학교급별로, 학년별로 부분적으로라도 써봐야 내용을 알 수 있게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만약 어떤 학교가 AIDT를 전혀 사용하지 않
환경부가 추진하는 이동식 전기차 충전 서비스 사업이 특정 업체의 독점 논란과 안전성 문제로 도마에 올랐다. 전기차 보급률 1위인 제주도 역시 이번 논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7일 중소기업계와 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환경부는 조달청을 통해 이동식 전기차 충전시설의 1~3종 제작 및 구매를 위한 입찰을 진행했다. 이 사업은 충전 인프라가 부족하거나 수요가 급증하는 지역에 이동식 충전기를 보급해 전기차 사용자들의 편의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올해 300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이번 입찰에서는 배터리 용량과 충전기 출력 사양별로 ▲50㎾h-50㎾(45대·68억원), ▲100㎾h-50㎾(50대·95억원), ▲100㎾h-100㎾(56대·113억원)의 계약이 공고됐다. 하지만 모든 사양에서 A사 컨소시엄이 긴급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면서 논란이 불거졌다. 특히 100㎾h-100㎾ 사양의 경우 A사가 해당 기준에 대한 KC 안전인증을 받지 않았다는 점에서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입찰에 참여한 B사 전기차 배터리 충전업체 관계자는 "50㎾ 사양을 병렬로 연결해 100㎾ 사양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심각한 안전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며 "배터
한국현대사의 비극인 제주4·3 기록물에 대한 유네스코 세계기록 유산 등재 여부가 올해 상반기 결정된다. 7일 제주도에 따르면 유네스코는 올해 상반기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IAC)의 등재 심사를 거쳐 최종 등재 여부를 결정한다. 현재 유네스코는 회원국을 대상으로 이의 여부 등 의견을 묻는 절차를 밟고 있다. 도는 지난해 10월 독일과 영국에서 제주4·3 국제특별전 및 심포지엄을 개최하는 등 국외 홍보에 나섰다. 조상범 제주도 특별자치행정국장은 "제주4·3에 관한 책을 쓴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에 이어 4·3 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이끌어 내 제주4·3의 세계화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2023년 11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한국위원회는 제주4·3 기록물인 '진실을 밝히다. 제주4·3아카이브'를 유네스코에 제출해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신청했다. 신청된 기록물은 제주4·3과 관련된 모두 1만4673건의 문서, 영상자료 등이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냉전과 이념 대결, 국가폭력, 민간인 학살 등을 보여주는 자료들이다. 제주4·3특별법에 의하면 제주4·3은 '1947년 3·1절 기념행사에서 경찰 발포에 의한 민간인 사망사고를 계기로
제주도가 교통약자 특별교통수단 미터기 조작 의혹에 대한 전수조사를 벌인다. 제주도는 제주 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 운영 체계를 전면 개선해 오는 3월부터 시행한다고 7일 밝혔다. 이번 개선은 지난해 11월 제주도의회가 제주도 새해 예산안을 심사하는 과정에서 지적된 센터 운영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다. 지적된 내용을 보면 우선 휠체어 장애인을 위한 '교통약자 특별교통수단'을 모는 운전원 일부가 승객이 내린 뒤에도 하차 버튼을 누르지 않는 식으로 미터기를 조작했다는 의혹이 있었다. 이렇게 승객을 태운 것처럼 조작해 고의로 호출을 피함으로써 교통약자 이동권에 제약이 생기는 건 물론 운행 거리에 따라 지급되는 격려금 부정수급 문제도 발생한다는 지적이다. 비휠체어 장애인을 위한 '바우처 택시' 관련해서는 1인이 연간 1000회 이상 이용하는 등 특정 이용자들이 과다하게 이용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아울러 장애인 본인이 아닌 가족이 이용했다거나 택시기사와 이용자 간 짬짜미가 있다는 의혹도 있었다. 이에 도는 우선 특별교통수단 미터기 조작 관련 전수조사를 실시해 부정행위자에 대한 인사위원회 처분, 운행 격려금 환수 등을 진행하기로 했다. 특별교통수단 배차를 취소한
제주의 상추자도와 하추자도가 국토외곽 먼섬으로 추가 지정된다. 안전한 정주 여건을 조성하기 위한 지원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행정안전부는 7일 국무회의에서 '울릉도·흑산도 등 국토외곽 먼섬 지원 특별법 시행령'이 의결됐다고 밝혔다. 이번 시행령은 오는 17일부터 시행된다. 국토외곽 먼섬은 육지에서 50㎞ 이상 떨어진 섬으로 군사적·안보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다. 해양 영토의 지배권 강화와 국경 역할을 담당하는 전략적 거점이다. 기존에는 울릉도, 백령도 등 27곳과 직선 기선을 설정하는 기점 7곳이 포함돼 모두 34곳이 지정돼 있었다. 이번 시행령을 통해 상추자도와 하추자도가 새롭게 지정된다. 제주는 국토외곽 먼섬 관리 대상에 추가적인 지원과 관리 체계를 확보하게 됐다. 이에 따라 모두 43개의 섬이 국토외곽 먼섬으로 관리된다. 제주는 이번 지정을 통해 해양 영토 관리와 정주 여건 개선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시행령에서 추가 지정된 섬은 ▲전남 영광군의 안마도·대석만도·죽도 ▲전남 여수시의 동도·서도 ▲제주의 상추자도·하추자도 ▲충남 보령시의 황도 ▲전북 부안군의 하왕등도 등 9곳이다. 특별법 시행령에는 이들 섬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지난해 제주를 찾은 외국인 관광객 수가 200만명에 근접했다. 코로나19 전인 2019년 이후 5년 만에 100만명을 넘어 최고치였던 2016년 360만명 이후 최대규모다. 7일 제주도관광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제주를 찾은 관광객이 잠정 1378만3911명으로 이중 외국인 관광객이 13.8%인 190만7608명으로 집계됐다. 2016년 360만3021명으로 정점을 찍었던 외국인 관광객 수는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에 따른 중국 한한령(限韓令·한류 제한령)으로 2017년 123만604명, 2018년 122만4832명, 2019년 172만6132명으로 감소했지만 100만명대를 유지했다. 하지만 코로나19 여파로 2020년 21만2767명, 2021년 4만8278명, 2022년 8만6444명으로 급감했다. 코로나19 사태가 끝난 2023년에 회복세를 보이긴 했지만 70만9350명으로, 100만명에 미치지는 못했다.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제주를 찾은 외국인 관광객 가운데 중국인이 130만4359명으로 전체의 68.4%를 차지하며 가장 많았다. 2위는 대만인 관광객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약 2.3배 늘어난 14만9518명이 제주를 방문했다.
제주도가 올해 교통 분야에 2776억원을 투자, 교통복지 확대와 미래형 교통체계 구축에 나선다. 하지만 중장기적인 교통문화 형성과 인식 개선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제주도는 2025년 교통 분야에 지난해보다 1.6% 증액된 2776억원을 투자한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예산은 교통복지 확대, 미래 교통체계 구축, 디지털 전환, 주차정책 수립 및 교통안전 강화 등 4대 핵심 분야에 집중될 예정이다. 도는 버스 교통복지 지원에 410억원을 투입해 지난해 65세 이상 어르신에게 제공된 버스 무료 이용 혜택을 올해부터는 13세 미만 어린이로 확대한다. 어르신행복택시에는 135억원, 교통약자를 위한 특별교통수단과 바우처 택시 운영에는 129억원을 배정해 교통약자의 이동권을 보장한다. 또 대중교통 취약 지역을 지원하기 위해 읍면지역 수요응답형 옵서버스 운영을 상반기 중 10개 권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제주 간선급행버스체계(BRT) 고급화사업에는 64억원이 투입된다. 서광로 구간은 5월 개통 예정이다. 양문형 저상버스 100대를 도입해 정시성과 이동 속도를 강화하고, 수소트램 도입을 위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을 연내 수립해 국토교통부의 승인을 받을 계획이다. 디
제주에서 매년 1억 마리 이상의 꿀벌이 폐사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밀원수 숲이 조성된다. 밀원수는 진한 향기의 꽃을 피우며 벌꿀 채집의 원천이 되는 나무다. 제주도는 서귀포시 남원읍 수망리 마을공동목장 유휴 토지 약 84만㎡(25만여 평) 규모에 밀원 숲을 조성하고 있다고 7일 밝혔다. 이는 국토 최남단 섬 마라도(30㎡)의 약 2.8배 크기다. 제주도 관계자는 "밀원 숲이 꿀벌 감소 문제와 탄소 배출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추진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올해는 약 45만㎡의 부지에 때죽나무, 황칠나무, 쉬나무, 왕벚나무 등 산림청 지정 밀원수 2만여 그루를 심는다. 지난해에는 약 39만㎡의 숲 부지에 같은 밀원수 2만여 그루가 식재됐다. 도는 대규모 밀원 숲 조성이 지역 양봉업과 과수 농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제주 양봉업계에 따르면 기후 변화로 매년 약 450개 농가에서 1억 마리 이상의 꿀벌이 폐사하는 상황이다. 꿀벌 활동이 줄어들면 꽃가루 수정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열매 생산량이 감소하고 벌꿀 생산도 줄어드는 등 농가 피해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주도는 지역 주민들과 협의 후 밀원수를 심기로 결정했다. 도는 이번
지난해 한라산 탐방객이 가장 많이 찾은 탐방로는 '영실 코스'로 나타났다. 7일 한라산국립공원관리소에 따르면 2024년 한라산국립공원 탐방객은 모두 92만8409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92만3680명)에 비해 0.5%(4729명) 증가한 수치다. 한라산 탐방객은 2015년 125만5731명에서 2016년 106만5898명, 2017년 100만1440명, 2018년 89만1817명, 2019년 84만8279명으로 감소 추세를 보였다. 이후 코로나19 유행이 시작된 2020년에 69만9117명, 2021년에는 65만2706명으로 60만명대를 보이다가 2022년 85만744명으로 80만명대를 회복했고 2023년과 지난해에는 90만명대를 기록했다. 지난해 탐방객 현황을 코스별로 보면 영실 코스가 33만6535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어리목 26만5908명, 성판악 22만4115명, 관음사 9만8107명, 돈내코 3744명 순이었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성판악 코스 탐방객이 가장 많았으나 2023년부터는 영실 코스에 가장 많은 탐방객이 찾고 있다. 백록담 정상까지 등반할 수 있는 성판악과 관음사 코스의 경우 2021년부터 한라산 보호를 위한 탐방예약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