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전 유명을 달리했던 제주대학교 철학과 故 김현돈 교수의 유고집이 나왔다. 제주대안연구공동체(이사장 고병수, 원장 강봉수)는 김현돈 교수의 생전 언론 칼럼 등을 담은 유고집 <생각하는 삶은 아름답다>(도서출판 누리/비매품)를 펴냈다. 330쪽 유고집은 제주대 윤용택 교수가 생전 김현돈 교…
▲ 양성철/ 발행.편집인 지금으로부터 13년여 전인 2002년 1월 중순. ‘일본의 제주도’로 불리는 일본 열도의 최남방 현 오키나와로 갔다. 그 때는 제주도가 ‘국제자유도시’ 간판을 내걸기 직전이었다. 1995년부터 같은 전략을 추진한 오키나와의 실태를 취…
▲ 양성철/ 발행.편집인 이 정도면 자부심을 가져도 될 듯하다. 조마조마한 눈으로 지켜봤지만 기우였다는 생각도 들었다. 언제나 늘상 그렇듯 세련됨이 부족하고 2%는 커녕 10%가 부족하다고 느꼈던 그 의혹이 눈길도 이번엔 거둬들여야 겠다. 이달 28일 중국 하이난(海南)섬 하이커우(海口)시 컨벤션센터…
전국한우협회 제주도지회가 29일부터 내달 1일까지 제주종합경기장에서 제주산 한우고기 무료시식 및 할인판매 행사를 갖는다. 제주한우 품질의 우수성을 알리고 무료시식과 할인행사를 통해 한우농가의 경영안정과 소득향상을 꾀하기 위해 마련됐다. 제주산 한우고기를 시중 보다 25~50% 할인된 가격으…
▲ 에베레스트 정상에 올랐던 고상돈 산악인 [제이누리 DB] 한국 산악등반사 처음으로 세계 최고봉 에베레스트에 오른 산악인 고상돈(1948~1979)을 기념하는 걷기대회가 제주서 열린다. 고상돈기념사업회가 주최하는 '2015 한라산 고상돈로 전국 걷기대회'가 다음달 1일 한라산 고상돈로에서 열린다.…
▲ 김석범 작가 제주4·3사건 진상규명에 평생을 매달려 온 재일동포 작가 김석범(金石範·89·일본 도쿄 거주) 옹의 한국 방한이 한국 정부에 의해 저지됐다. 지난 4월 제주4·3평화상 수상식에 참석, 수상소감을 빌어 한 발언이 문제가 됐다. 주일 한국대사관…
▲ 광령사옥 시절의 제주일보 부도사태 뒤 새 경영진을 꾸려 회생의 발판을 구축했던 <제주일보>가 다시 소용돌이에 휘말렸다. 이번엔 상표권 분쟁에 따른 제호 사용문제다, 전 경영진 측과 서로 ‘정통성’을 주장하며 명운이 걸린 한판 승부가 예고됐다. (주)<제주일보&…
제주의 한 일간지 기자의 공무원 폭행사건에 따른 후폭풍이 불고 있다. 공무원 노조·시민단체가 ‘권언유착 폐해 신고센터’를 개설하고 명예훼손 고소전에 나선 해당 기자를 상대로 ‘무고’ 맞대응전이 벌어졌다. 제주도공무원노동조합과 전국공…
감귤구조 혁신에 나선 제주도가 '명품 제주감귤'을 향해 총력전에 나섰다. 5개년 감귤혁신 계획 추진에 나서 이달부터 1단계 작전에 돌입했다. 가을부터 본격 감귤 출하철이 시작되면서 '감귤생존'의 명운까지 걸었다. 올해 산 감귤부터 혁신의 첫 발을 내딛으며 구조혁신의 결과를 만들어 내겠다는 강한 의지…
▲ 양성철/ 발행.편집인 아마 그랬을 것이다. 나름 관덕정이 중요한 장소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광복절에 그것도 ‘야스쿠니’란 단어가 등장하니 일단 눈이 돌아갔을 것이다. 게다가 일장기도 등장한다니 우선 욕부터 나왔을 것이다. 광복 70주년을 맞아 15, 16일 이틀간 제주시 관덕…
▲ 김원숙 신임 소장 법무부는 10일자로 신임 제주출입국관리사무소장에 인천공항출입국관리사무소 김원숙(57) 지원국장을 내정했다. 제주출입국관리사무소장 직급은 기존 서기관에서 부이사관으로 격상됐다. 김 소장은 전남 고흥 출신으로 조선대 법학대학원 법학과를 나와 1986년 공직에 입문했다. 법…
▲ 박영사(4만9000원) 지방자치 전문가 양영철 제주대 교수가 오랜만에 노작을 세상에 내놨다. 여지없이 그의 전문영역인 지방자치 문제다. 하지만 그의 평생 연구업적을 정립했다는 점에서 교수직을 내걸고 집필한 역작이다. 한국지방자치단체의 60년을 돌아본 노작이다. <통계로 본 한국지방자치단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