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정마을회, 군사기지저지와 평화의 섬 실현을 위한 범도민대책위원회, 제주해군기지 건설 저지를 위한 전국대책회의가 23일 국무총리실에 제주해군기지 중단 촉구 서한을 전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들 단체들은 서한에서 지난 1월과 2월에 진행된 ‘크루즈선박 입·출항 기술검증위원회’와 관련해 “기술검증위는 구성과 운영, 보고서 채택 과정에서 파행을 면치 못했다. 당시 일부 언론이 총리실의 한 차관급 인사가 보고서 채택에 압력을 행사했다고 폭로하는 등 여러 가지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 기술검증위 회의록이 공개되어 기술검증위 관련 지난 의혹이 모두 사실로 드러나 국민의 공분을 사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 “15만톤 크루즈선박의 입출항과 접·이안 안전 문제는 제주해군기지(민·군복합항)의 민·군항 두 가지 기능을 좌우하는 중차대한 문제”라고 강조했다.
이들 단체들은 “15만톤 크루즈선박의 입출항과 접·이안의의 안전성이 담보되도록 앞장 서야 할 총리실이 제주도와 일부 기술검증위원들의 우려와 대안을 묵살하고 제주해군기지의 안전문제를 은폐하려고 했다는데 경악을 금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강정마을회 등 단체들은 “불능항이 될 수밖에 없는 제주해군기지(민·군복합항)의 즉각적인 공사 중단과 전면 재검토를 다시 요구한다”며 김황식 총리의 답변을 촉구했다.
강정마을회는 또 오는 25일 서귀포시청에서 열릴 예정인 제주해군기지 건설에 따른 총리실 주관 지역발전계획 설명회를 취소하라고 요구했다.
강정마을회는 "제주해군기지를 둘러싼 갈등이 극도로 심화된 상황에 총리실이 서귀포시민을 대상으로 해군기지 건설에 따른 지역발전계획 설명회를 여는 것은 찬반 논란을 키워 지역사회 갈등을 고조시킬 뿐"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정부가 지역 주민의 동조를 얻으려 한다면 일단 공사를 중단하고 사업의 목적성과 당위성, 필요성에 대해 충실히 설명한 뒤 지역주민의 양보를 얻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니면 정권 말기에 무리하게 추진해 사태를 악화시키지 말고 차기 정부에 해군기지 사업 추진방향을 위임하라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