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국무조정실이 추진하는 '2025년도 청년친화도시' 공모 대상에 포함됐다. 최종 지정 시 국비와 행정적 지원을 확보할 수 있어 관심이 쏠린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5일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열린 제1차 핵심규제 합리화 전략회의에서 참석자들과 토론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www.jnuri.net/data/photos/20250938/art_17579835506384_c5e491.jpg?iqs=0.7489416040575015)
제주도가 국무조정실이 추진하는 '2025년도 청년친화도시' 공모 대상에 포함되면서 최종 지정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정 시 국비와 행정적 지원을 확보해 청년 정책 추진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국무조정실은 16일 내달 27일까지 청년친화도시 공모 신청을 받는다고 밝혔다.
청년친화도시는 청년정책을 우수하게 운영하는 지역을 선정해 정부가 재정과 행정을 집중 지원하는 제도다. 지정되면 5년간 청년친화도시 지위를 갖게 된다. 특히 첫 2년간은 매년 2억5000만원씩 모두 5억원의 국비가 지원된다.
아울러 사업 추진을 위한 전문 컨설팅과 중앙정부 연계 정책 자문, 청년정책 담당자 교육, 각종 행정적 지원도 함께 제공돼 지자체의 정책 실행력을 높이는 장치로 작동한다.
공모 신청 대상은 전국 226개 기초자치단체와 세종특별자치시, 제주도다. 지정 희망 기초자치단체는 내달 15일까지 광역지자체에 신청서를 제출해야 하고, 광역지자체는 이를 취합해 27일까지 국무조정실에 추천한다. 평가를 거쳐 오는 12월 최종 3곳이 선정된다.
지난해에는 서울 관악구, 부산 부산진구, 경남 거창군이 첫 청년친화도시로 지정됐다.
제주도 역시 이번 공모 참여 여부를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최종 지정될 경우 청년정책 추진에 필요한 국비 확보는 물론 제도적 기반 강화에도 탄력이 붙게 된다.
한편, 같은 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지속성장과 발전을 위해 국가균형발전은 선택이 아닌 운명"이라며 "수도권 1극이 아닌 지방 5개 발전 축과 강원·전북·제주 등 3개 특별자치도를 육성하는 '5극 3특' 전략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이어 "고용률은 역대 최고치지만 청년 취업자는 16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청년 일자리 확대 정책과 청년친화도시를 세심히 추진할 것을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기업에도 "청년고용 문제 해결에 힘을 보태 달라"며 "청년 신규 일자리 창출을 통해 국가와 기업 모두가 '윈윈'하는 경제성장의 새 물꼬를 트자"고 당부했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