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애월읍 봉성리에서 추진 중인 '가축분뇨 공동자원화 사업' 환경영향평가 동의안이 주민 갈등과 각종 의혹으로 제주도의회 심의에서 또다시 보류됐다. 봉성리 가축분뇨 공동자원화 사업 부지의 전경이다. [출처=KBS]](http://www.jnuri.net/data/photos/20250937/art_17576650500343_a3f550.jpg?iqs=0.2603713121071358)
제주시 애월읍 봉성리에 추진 중인 '가축분뇨 공동자원화 사업' 환경영향평가 동의안이 주민 갈등과 각종 의혹으로 제주도의회 심의에서 또 보류됐다.
제주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는 12일 제442회 임시회 1차 회의에서 제주시가 제출한 'A영농조합 가축분뇨 공동자원화(에너지화)사업 환경영향평가서 협의내용 동의안'을 심사한 뒤 보류를 결정했다.
이 안건은 지난해 9월 제출됐으나 주민 수용성 확보가 필요하다는 이유로 한 차례 보류된 바 있다.
A영농조합은 봉성리 일대 9859㎡ 부지에 하루 150㎥ 규모의 시설을 설치해 가축분뇨로 전기와 액비, 퇴비를 생산하는 사업을 추진 중이다. 전체 사업비는 186억원으로 국비 40%, 도비 30%, 융자 20%가 지원되며 자부담은 약 18억원이다.
하지만 심사 과정에서 주민 반대 청원이 접수된 데다 사업자 교체와 임원진 교류 등 각종 의혹이 불거졌다. 과거 가축분뇨법 위반으로 사업 공모에서 탈락했던 B업체가 이후 A영농조합을 인수했고, 해당 업체 대표가 현재 A영농조합 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사실이 확인됐다. 또 현 봉성리 마을이장이 과거 A영농조합 설립과 대표직에 관여했던 점도 드러나 논란을 키웠다.
김기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도2동 갑)은 질의 과정에서 "많은 의구심이 드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홍상표 제주시 농수축산국장은 "현재 마을이장은 A영농조합과 무관하다"며 "사업 추진 과정에서 마을이장이 바뀌는 과정이 있었다"고 해명했다.
또 다른 의원은 "보조금 집행의 타당성에도 의문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주민 갈등까지 겹쳤다"며 "사업 추진의 적절성을 먼저 검토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결국 환도위는 주민 수용성 확보와 사업자 관련 의혹 해소가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을 내고 안건을 보류했다. 이로써 봉성리 가축분뇨 공동자원화 사업은 1년 만에 다시 상정됐으나 또다시 제동이 걸리게 됐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