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형 행정체제 개편을 둘러싼 여론조사가 잇따라 발표되며 도민 사회의 혼란이 커지고 있다. 2일 공개된 제주도의회 의뢰 리얼미터 조사에서는 행정구역 개편 방식으로 ‘제주시·서귀포시 2개 구역’을 선호한다는 응답이 40.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제주도의회 제공]](http://www.jnuri.net/data/photos/20250936/art_17567763533654_a66560.jpg?iqs=0.1828607995491789)
제주도가 역점적으로 추진해온 '제주형 행정체제 개편'이 도민 여론의 벽에 부딪히며 치명타를 맞았다. 제주도의회가 직접 의뢰한 조사에서 제주시를 동·서로 나누는 3개 구역안은 찬성 비율이 30%에 미치지 못했고, 도민 다수는 '속도조절'을 주문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제주도의회가 발표한 리얼미터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77.5%가 행정체제 개편 추진 사실을 알고 있다고 답했다. 기초자치단체 설치 법률안 발의 사실을 인지한 도민도 69.8%에 달해 정책에 대한 인식 수준은 높았다.
그러나 구체적인 행정구역 개편 선호도에서는 '제주시·서귀포시 2개 구역' 응답이 40.2%로 가장 많았고, 도가 추진하는 '동제주시·서제주시·서귀포시 3개 구역'은 28.4%에 그쳤다. ‘기초자치단체 설치 반대’는 20.1%였다.
향후 추진 방향을 묻는 질문에서도 '도민 의견 수렴과 상황 변화를 고려해 진행해야 한다'는 응답이 66.4%로 압도적이었다. 반면 '2026년 7월 도입을 목표로 주민투표 실시 등 신속 이행' 응답은 23.0%에 불과했다.
이번 결과는 도의회뿐 아니라 도민사회 전반에 적잖은 파장을 낳고 있다. 앞서 제주연구원 조사에서는 3개 구역안 찬성이 46.3%로 반대보다 높았던 반면, 더불어민주당 제주도당 조사에서는 반대가 우세하게 나타났다. 불과 열흘 간격으로 실시된 조사조차 결론이 엇갈리면서 정책 추진 동력이 흔들린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이번 조사 설문 설계와 표본 구성에서의 한계도 지적된다. 모바일웹(80%)과 유선전화(20%)를 혼합해 조사한 방식은 인터넷·모바일 활용도가 높은 계층의 응답이 과대 반영됐을 수 있다는 우려를 낳았다. 또 제주시 동·서 권역 분할 여부를 서귀포시민에게까지 묻는 문항 구성이 적절했는지에 대해서도 의문이 제기됐다.
아울러 문항 설계 역시 '2개 구역안'과 '3개 구역안', '기초자치단체 설치 반대'를 동등 예시로 배치,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는 한편 2~3개 구역안에 찬성하지 않으면 곧바로 '기초자치'를 부정하는 선택만이 가능해 "설문조사의 기본이 안된 질문"이란 혹평이 쏟아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과적으로 이상봉 제주도의회 의장은 "도민 의견을 가감 없이 공개해 민의를 반영한 행정체제 개편 방향을 제시하겠다"고 밝혔지만 도정으로서는 여론조사마저 '찬물'을 끼얹는 결과가 된 셈이다. 오영훈 제주지사는 오는 4일 언론 간담회에서 관련 입장을 내놓을 예정이다.
이번 여론조사는 제주 지역에 거주하는 18세 이상 도민 1500명을 대상으로 8월 21일부터 8월 26일까지 6일간 실시됐다. 조사는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주관했다. 표본은 2025년 7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통계 기준으로 성별․연령.지역별 비례 배분 추출했으며, 표본오차는 신뢰수준 95%에 ±2.5%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