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노후화된 공업지역을 정비하고 미래 신산업 기반 조성을 위한 공업지역 관리 계획을 수립했다. 화북공업단지 입구의 전경이다. [제이누리 DB]](http://www.jnuri.net/data/photos/20250417/art_17451917287284_07301e.jpg)
제주도가 주민반대로 이전이 무산된 화북공업지역을 청정바이오·그린수소 등 미래 신산업 중심지로 전환시키는 등 도내 공업지역 전반에 대한 재정비에 나섰다.
제주도는 '2030 제주도 공업지역 기본계획안'을 마련, 21일 공개했다.
이번 계획은 '도시공업지역의 관리 및 활성화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수립됐다. 도내 공업지역(5.79㎢) 중 20.7%에 해당하는 도시공업지역 8곳(1.2㎢)을 대상으로 한다.
기본계획안은 ‘지역 산업 고도화 및 신산업 육성 기반 조성’을 비전으로 설정하고, 3대 목표와 9개 전략 과제를 담았다.
지역별로는 ▲화북 공업지역은 '산업 관리·정비형' ▲토평·한림·도두·세화·성산포·경림산업 공업지역은 '산업관리형' ▲김녕 공업지역은 '기타형'으로 분류됐다.
특히 주민 반대로 이전 계획이 무산됐던 화북 공업지역에 대해서는 새로운 방향이 제시됐다. 전체 면적의 57%에 해당하는 미개발 부지(38만8949㎡)에는 도가 중점 육성하는 청정바이오, 그린수소, 신재생에너지 등 미래 신산업 관련 업종 유치를 추진한다.
도는 내년 3월까지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해 주거지와 충돌하는 업종의 입지를 제한하고, 산업과 생활환경이 조화를 이루도록 할 방침이다.
토평 공업지역은 기존 업종 중심으로 유지하되 사유지 매입과 공원부지 활용을 통해 주차장 등 기반시설을 확충하고 보행 환경을 개선하는 방식으로 정비가 이뤄질 예정이다.
이번 계획과 관련해 도는 오는 30일 제주웰컴센터에서 공청회를 열고 전문가와 도민의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이후 도의회 의견 청취 및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오는 7월 중 최종 기본계획을 확정·공고할 예정이다.
제주도 관계자는 "이번 기본계획 수립을 통해 공업지역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미래 먹거리 산업을 이끌 신산업 육성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