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일사업장으로 제주 최대규모인 제주시 오라관광단지 개발사업을 놓고 도민 대다수가 자본검증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냈다. 10명 중 9명이다.
제주도는 2일 오라관광단지 자본검증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시민사회단체 등에서 투자자본의 불투명성을 꾸준히 제기하자 제주도가 지난 9월6일 자본검증 로드맵에 따라 9월26일부터 10월25일까지 한달간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전화조사와 도내 전문가(122명) 우편 설문조사, 제주도 홈페이지를 통한 도민 설문조사를 병행했다.
이에 따르면 '자본검증 필요성' 을 묻는 전화조사에서 응답자들은 '매우 필요하다' 62.6%, '필요한 편이다' 29.4%로 응답했다. 92.0%가 자본검증이 필요하다는데 공감한 것이다.
자본검증 진행방식을 묻는 전화조사에서 응답자의 69.8%는 '금융, 법률 등 분야별 전문가들로 구성된 민간위원회를 구성해서 검토해야 한다', 25.6%가 도청과 행정기관 등 공공기관이 주도하여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을 보였다.
'자본검증시 중요사항'에 대한 전화조사에서는 응답자의 65.1%가 '투자자본에 대한 조달계획이 적정하게 수립되었고 현실성이 있는지 여부', 64.5%가 '사업자(투자자) 실체가 투명하고 자격 등이 적합한지 여부', 62.3%가 '지역경제 협력과 상생', 53.9%가 '자본검증을 객관적으로 하였는지, 실효성이 확보되었는지'로 답변했다.
개발사업에 따른 부작용 방지를 위해 필요한 안전장치로는 '개발사업 승인시 조건을 부여하고 집중관리하는 방안'이 66.5%로 가장 높았다. 이어 투자 사업비 중 일부를 도내 금융기관에 예치하는 방안(55.5%), 개발로 인한 수익자금에 대해 국부유출을 제어할 수 있는 방안(48.1%), 전체 시설 중 일정부분을 사업자가 직접 경영하도록 유도하는 방안(28.6%) 등의 순이었다.
'자본검증위원회 전문가 참여분야'를 묻는 전화조사에서는 69.7%가 금융분야, 69.2%가 법률분야, 62.6%가 회계분야, 60.8%가 경제분야, 56.7%가 투자분야로 답했다.
'자본검증위원회 도민참여 분야'를 묻는 전화조사에서는 응답자의 54.2%가 시민사회단체, 53.5%가 상생관련 단체(일자리, 농민, 관광, 중소상공인), 44.0%가 지역기업 협의체, 38.7%가 행정, 27.6%가 도의원으로 답변했다.
'신용 평가기관 의뢰처'를 묻는 전화조사에서 응답자의 67.3%가 국내·외 신용평가기관, 40.4%가 국내·외 회계법인, 39.6%가 국내·외 금융기관, 27.1%가 국제금융 변호사를 들었다.
이번 조사는 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제주도는 조사가 마무리됨에 따라 도민·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자본검증위원회를 이달 말까지 만든다. 위원회를 통해 전문기관 선정 등 자본검증 절차를 본격 진행할 계획이다.
제주시 오라2동 열안지오름 일대 오라관광단지 357만5000여㎡에는 복합관광단지가 조성될 예정이다. 관광호텔 2300실, 휴양콘도 1270실, 명품 빌리지와 같은 상업시설, 생태전시관, 워터파크, 18홀의 골프장 등이 계획됐다. 총 5조2180억원이 투자되는 제주 최대 개발사업이다.
그러나 사업부지가 중산간 지역인 해발 350~580m에 위치한데다 지하수 이용 및 오·폐수 처리 문제 등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제이누리=양성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