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는 지난 해 11월부터 현재까지 국비 10억원을 들여 제주4·3평화공원 내에 4·3평화의 숲을 조성했다고 9일 밝혔다.
도는 4.3 평화공원 부지 중 1만4300㎡에 4·3사건 당시 마을에 있었던 나무와 같은 종을 식재하고 산책로 1.2㎞를 만들었다. 잃어버린 마을 터, 기념식수공간 등으로 꾸며졌다.
4·3관련 나무는 유적지인 선흘곶 목시물굴 주변 동백나무, 4·3당시 총소리로 위장할 때 쓰인 꽝꽝나무, 토벌대에 의해 마을이 모두 불탔지만 살아남은 선흘리 '불칸낭(불에 탄 나무의 제주어)'으로 유명한 후박나무 등 20그루 이상이다.
특히 모든 마을 중앙에 위치해 4·3을 지켜본 팽나무를 4·3평화의 숲 경사지 정상쪽에 상징적으로 숲을 내려다 볼 수 있도록 심었다.
또 그 주변에 잃어버린 마을 터를 만들고, 메밀꽃 등을 파종해 4·3 당시 마을을 회상할 수 있게 했다.
제주4·평화공원 조성사업은 2001년부터 2017년까지 총사업비 712억원을 투입해 1~3단계로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이번 준공된 4·3평화의 숲에 이어 내달에는 4·3어린이체험관이 완료되면 3단계 사업은 마무리 된다.
도는 제주4·3평화공원 4, 5단계 조성사업이 계속 추진 될 수 있도록 중앙정부와 협의하고 있다. [제이누리=양성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