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예비후보는 9일 정책브리핑을 통해 "제주4·3은 제주역사의 가장 비극적인 사건으로 역사적 사실에 입각해 역사 교과서에서 다뤄져야 하며 다시는 이 같은 비극이 일어나지 않도록 인성교육의 사례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 예비후보는 "현재는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 4·3사건과 관련, 남한 단독선거에 반대한 좌익세력과 경찰과의 무력 충돌과정에서 많은 민간인들이 좌익으로 몰려 희생된 사건의 의미로 서술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김 예비후보는 이어 "매년 4.3국가추모기념일을 즈음해서 4.3관련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해 수업에 적용하고 4.3공원 방문, 4.3관련 유적지 답사 등을 통해 그 의미를 되새기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예비후보는 또 "초·중·고 뿐 아니라 대학에서도 교양과목으로 4.3평화인권 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대학과 협의해 인권과 평화에 대한 제주인의 인식 지평을 확대하는 일도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김 예비후보는 이에 "4.3 사건은 제주 역사에서 가장 비극적 사건이지만, 후세의 사람들에게 보편적 인류애로 나아갈 수 있도록 평화와 인권, 화해와 상생, 분단체제의 극복과 통일 지향의 교육으로 4.3의 고통은 극복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예비후보는 "현재 제주4.3사건 관련 특별법과 제주도 4.3유적지 보존 및 관리에 관한 조례가 제정돼 있고, 그 제5조(교육감에 대한 협조요청)에서 '4.3유적지가 청소년의 역사교육 현장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교육프로그램 개발 등에 적극 협조를 요청해야 한다'고 명시됐다"고 말했다.
김 예비후보는 이에 "따라서 4.3교육은 아동청소년뿐만 아니라 대학생까지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제이누리=김경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