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근 예비후보는 2일 정책브리핑을 통해 "교사들이 행정 잡무, 각종 보고업무에 시달려 수업에 집중할 수 없다. 심지어 일부 교사들은 잡무를 덜 맡으려 경쟁하고 있다”며 “교사들이 오롯이 수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전 학교 정규직 기반의 교무행정 전담요원을 배치하겠다”고 밝혔다.
고 예비후보는 “교사들이 수업, 생활지도 및 상담에 전념할 수 있도록 행정업무를 전담케 한 교무행정지원사 일선 학교 배치가 4년이나 지났으나 그 효과가 미미하다"며 "교무행정지원사 처우 개선 문제로 분란만 야기하고 있다. 교무행정 전담요원을 학교당 1명의 획일적 배치가 아닌 학교 규모, 유형에 따른 교무행정업무량을 감안, 배치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교무행정 전담요원을 단계별로 확대 및 배치, 직접적인 교육 및 상담 활동을 제외한 교무행정업무 일체를 대폭 이관하겠다"며 "단속적, 잡무성 업무지원에 그치는 현재의 교무행정 지원사의 한계를 해소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교육부, 교육청, 교육지원청, 단위학교로 이어지는 수직적인 관료체제가 행정중심학교의 근본적인 원인이다”며 “교육감이 된다면 학교 행정 부담이 획기적으로 줄어들 수 있도록 교육청의 관리 통제 방식이 아닌 학교 지원 교육청 체제로 확실히 전환, 교사와 학생이 행복한 학교문화를 만들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제이누리=강남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