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잔인한 달 4월 ... 4.3으로 잃어버린 마을 곤을동.원동마을을 찾아서

 

TS 엘리엇이 황무지(the waste land)에서 읊은 잔인한 달 4월을 맞아, 4·3의 아픔이 짙게 배어있는 화북 바닷가 마을이었던 곤을동을 다시 찾았다. 별도봉 산책로에서 바닷가로 난 길을 따라 가다 우연히 만났었던 곳이다.

 

바다가 앞마당인 이곳에 1949년 1월 국방경 비대 군인들이 들이닥쳐 주민을 학살하고 집집마다 불을 붙였다. 조상 대대로 7백 년 넘게 살았다던 그 터엔 옛 모습을 간직한 연자 방아와 야트막한 돌담들이 4·3의 비극을 대변해주고 있었고, 해원의 꽃인 양 노란 유채꽃들이 만개하여 넘실대고 있었다.

 

또 하나의 잃어버린 곳인 원동마을을 만난 것은 학생들과 함께 간 수련회의 아침산책에서였다. 제주목과 대정현을 잇는 중간지점에 위치한 자연부락인 이곳에 1948년 11월 제9연대 군인들이 들이 닥쳤다. 그리고 그들은 60여 명의 주민들을 학살하고도 모자라 시신과 함께 마을을 불바다로 만들었다.

 

인적이 끊어진 마을 터엔 대나무와 팽나무가 숲을 이루며 지난날의 참상을 증언하고 있었다. 원동마을 바로 지척에서 승용차들이 내달렸다. 아하, 이곳이 바로 평화로 중간지점이었구나. 이후 출퇴근길에 보는 원동마을이 한편 친근하면서도 더욱 애처로웠다.

 

며칠 전 나는 조부와 중부의 위패가 모셔진 제주4·3평화공원을 다시 찾았다. 학생들과 관광객들을 태워온 대형버스들이 주차장을 가득 메우고 있었다. 이별보다 슬픈 것이 망각이라 했던가, 나도 그들이 반가운데 영령들께서는 오죽 반가웠을까.

 

도내의 6·25 예비 검속 희생자와 도외의 지역에서 행방불명된 희생자들이 모셔진 묘 역과 발굴유해봉안관을 참배한 나는, 평화기념관에서 전시하는 4·3 잃어버린 마을 특별전도 둘러보았다. 곤을동과 원동마을처럼 폐허가 된 110여 곳 중 절반 정도의 마을들이 사진과 함께 소개되고 있었다.

 

특별전에서 만난 서글픈 이름들을 떠올려본다. 오라리 어우늘, 세화리 다랑쉬, 동광리 삼밧구석, 가시리 새가름, 명월리 빌레못…. 시인 문충성은 4·3의 아픔을, ‘섬 하나가 몬딱 감옥이었주마심, 섬 하나가 몬딱 죽음이었주마씸.’으로 표현했다. 그 난리시국에서 대부분의 제주선인들은 살려고 여기저기 숨은 죄밖에 없었는데….

 

주변에 내걸린 ‘평화의 섬 정착은 4·3인권교육에서부터, 정부는 4·3희생자 신고기간을 즉각 시행하라, 4·3유해발굴에 따른 후속조치를 시행하라.’ 등의 현수막 글귀에서 나는 당국이 풀어야할 과제들이 여전함을 실감했다.

 

어쩜 위령관 비석에 새겨진 ‘…평화와 상생의 기운을 한 데 모아 진혼의 불을 지폈으니 그 불꽃은 언 가슴을 녹이고 닫힌 마음을 활짝 열리라 자애로운 숨결은 훈풍으로 흐르고 용서와 화해의 꽃은 영원하리니….’란 글속에 당국이 풀어야 할 과제가 상징적으로 응축되어 있는 듯했다.

 

시인 엘리엇은 ‘라일락을 죽은 땅에서 키우고, 기억과 욕망을 뒤섞고, 굼뜬 뿌리를 봄비가 적시는 4월’을 왜 잔인한 달이라고 했을까. 어쩜 현대인의 기억과 욕망, 고통과 각성, 그리고 삶과 죽음에 대한 역설 때문이 아니었을까.

 

부활을 위한 죽음에 대한 엘리엇의 메시지는, 4·3영혼들의 죽음 뒤에 오는 후손들의 화해와 상생에 대한 성찰이라 여겨본다. 망각의 눈에 쌓인 겨울은 차라리 평화스럽다지만, 만물이 다시 움트고 싱싱하게 부활하는 4월은 그래서 잔인한 가 보다. 삼가 4·3의 영혼들께 두 손 모은다. <다음편으로 이어집니다>

 

문영택은?
= 4.3 유족인 부모 슬하에 부산 영도에서 태어났다. 구좌중앙초·제주제일중·제주제일고·공주사범대·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프랑스어교육 전공)을 졸업했다. 고산상고(현 한국뷰티고), 제주일고, 제주중앙여고, 서귀포여고, 서귀포고, 애월고 등 교사를 역임했다. 제주도교육청, 탐라교육원, 제주시교육청 파견교사, 교육연구사, 장학사, 교육연구관, 장학관, 중문고 교감, 한림공고 교장, 우도초·중 교장, 제주도교육청 교육국장 등을 지냈다. '한수풀역사순례길' 개장을 선도 했고, 순례길 안내서를 발간·보급했다. 1997년 자유문학을 통해 수필가로 등단, 수필집 《무화과 모정》, 《탐라로 떠나는 역사문화기행》을 펴냈다. 2016년 '제주 정체성 교육에 앞장 서는 섬마을 교장선생님' 공적으로 스승의 날 홍조근정훈장을 받았다. 2018년 2월 40여년 몸담았던 교직생활을 떠나 향토해설사 활동을 하고 있다.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관련기사

더보기
27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